과학연구

우리 나라에서 WRF모형을 리용한 폭우과정의 수치모의분석

 2025.4.2.

최근에 세계적으로 태풍과 폭우를 비롯한 재해성기상현상으로 인하여 막대한 인적 및 물질적피해를 입고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장마철에 폭우를 동반하는 많은 비가 내린다. 폭우에 대한 예보를 과학화하는것은 큰물피해를 최소화하고 물자원관리를 합리적으로 진행하는데 도움을 준다.

김일성종합대학 지구환경과학부 기상연구소에서는 우리 나라에서의 폭우예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데서 일정한 성과를 이룩하였다.

연구소에서는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모형의 여러 미시물리도식을 리용하여 2020년 8월 9일~10일에 강원도 판교지역을 중심으로 우리 나라에서 발생한 폭우과정에 대한 수치모의를 진행하고 미시물리도식에 따르는 강수평가와 수증기응결물의 특성, 그리고 폭우과정을 일으키는 여러 동력학적특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들은 앞으로의 수치모의연구에 도움을 주는것으로 하여 잡지 《Journal of Atmospheric and Solar-Terrestrial Physics》에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heavy rain event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uring 9–10 August 2020》(https://doi.org/10.1016/j.jastp.2024.106297)의 제목으로 발표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