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층살창모형에 기초한 3차원탐사전망평가는 탐사와 채굴, 매장량계산 등에서 작업량을 줄이고 정확도를 높일뿐 아니라 선광실수률을 높이는데서 중요한 문제로 나선다.
지난 시기 자료구동형, 지식구동형 및 혼합형예측모형들을 리용하여 2차원탐사전망평가에 대하여 연구를 많이 진행하였다. 지질학적현상들은 모두 3차원공간에서 일어나며 탐사전망평가도 3차원공간에서 진행되여야 지질탐사실천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에 보다 완벽한 해답을 줄수 있다.
우리는 광체탐사에 관련되는 지층, 관입암, 품위 등과 같은 인자들을 지층살창모형에 기초하여 3차원적으로 표현하고 3차원공간에서 탐사전망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품위와 같은 인자들에는 리산평활보간이나 크리그법과 같은 보간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중첩분석방법으로는 2차원문제에서 리용하는 모호론리법과 기하평균법을 그대로 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3차원탐사전망평가결과에 대한 분류에는 2차원문제에서 리용되는 농도-면적법을 확장한 농도-체적법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우리는 확립한 방법을 어느한 비금속광상의 탐사전망을 3차원적으로 평가하는 문제에 적용하여 가장 전망성있는 구역들을 확정하였으며 시추자료와의 대비평가를 통하여 확립된 방법의 믿음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잡지 《Arabian Journal of Geosciences》에 《Three dimensional prospectivity modeling based on fuzzy logic and geometric average: A case study from Sansong district, Yongyu apatite deposit, DPR Korea》(https://doi.org/10.1007/s12517-024-11920-9)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