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생산에서는 질이 기본인것만큼 하나를 만들어도 질적으로, 온전하게 만들어 공급해야 합니다.》 (
오랜 기간 기름은 많은 피부보호제품의 기초물질로, 화장품공업과 의약에서 연고로 리용되였다. 기름은 비침투성물질로서 사람의 피부에 어떠한 해로운 작용도 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름의 피부에로의 침투깊이는 과학계에서 론쟁의 대상으로 되고있다. 일부 연구들에서는 화장품용기름이 피부장벽을 통과하여 살아있는 표피조직에 도달한다는것을 보여 주었다.
이 연구에서는 정제한 고품질기름(편도유, 호호바기름, 파라핀유, 광유)을 가지고 23살부터 62살까지의 건장한 자원자들에 대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기름을 팔앞쪽의 2×2cm2의 표시령역우에 2mg/cm2의 량으로 골고루 바르고 한시간이 지난후 모든 기름을 바른 부분들에 대하여 공초점라만 현미경의 초점을 2㎛씩 증가하면서 피부속 30㎛의 깊이까지 적어도 10번의 측정을 진행하였다.
이것을 위하여 정교한 광학측정수단인 공초첨라만현미경을 리용하였다. 피부속으로의 기름의 침투곡선을 결정하기 위하여 자체로 개발한 독자적인 방법을 리용하여 라만스펙트르결과(그림.)를 분석하였다.
우리가 적용한 4가지 방법들인 지문구역에서의 특정봉우리를 추정하여 기름의 침투깊이를 계산하는 방법(방법 1)과 지문구역에서의 비선형다중회귀 맞춤법에 의한 기름의 침투깊이계산방법(방법 2), 높은 파수구역에서의 기름 질과 케라틴의 곡선면적계산법에 의한 기름의 침투깊이계산방법(방법 3)과 높은 파수구역에서의 기름질, 케라틴봉우리에서의 가우스분해방법에 의한 기름의 침투깊이계산방법(방법 4)들중에서 방법 1과 2, 4에 의하여 결정된 기름의 침투깊이는 5.1~8.0㎛범위내에 놓이면서 서로 류사하며 방법 3에 의하여 얻은 침투깊이는 10.7~20.7㎛범위내에 놓이면서 뚜렷하게 높았다. 여기서 방법 1은 파라핀유과 광유에는 적용하지 못한다. 방법 3에 대한 기술적측면에서의 상세한 분석은 그것이 정확한 방법으로 되지 못한다는것을 말해준다.
다시말하여 특정한 파장범위에서 측정된 기름질과 케라틴(각질층의 주요성분)의 중첩으로 하여 침투 깊이가 정확히 결정되지 않는다.
방법 4에서 개발된 기름질과 케라틴의 분리방법은 정확한 결과를 보여주는데 이것은 다른 방법들과 기타 광학기술을 리용하여 얻은 결과와 류사하였다.
따라서 방법 3의 제한성을 고려하면 기름이 표피의 살아있는 세포에 도달하지 못하고 다만 제일 겉에 있는 각질층에만 도달한다는 결론을 내릴수 있다.
공초점라만현미경을 기름이나 기름이 함유된 물질의 침투성질을 연구하 는데 리용할 때 방법 2와 4를 리용하는것이 가장 정확하고 적합한 방법으로 된다는것이 증명되였다.
연구결과는 잡지 《Atlas of Science/another view on science》에 《Oil penetration into the human skin》(http://atlasofscience.org/oil-penetration-into-the-human-skin)의 제목으로 출판되였다.